매거진

  • 대티기자단
  • 웹진TTIS
  • 메일진

home 매거진 대티기자단

대티기자단

골목골목 혜화동 연극이야기

대티기자단 목록보기

박희정[3기]

연극 보러 대학로에 갑니다. 어찌나 골목이 많고 골목마다 크고 작은 극장이 꽉꽉 들어차 있던지. 그렇게나 무대 위에서 펼치고픈 이야기가 많고, 그만큼 이야기를 보고 듣고픈 사람이 많은가 봅니다. 굽이굽이 골목마다 넘쳐나는 이야기들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고전은 오늘도 힘차다, 연극의 원형을 찾아가는 <오레스테스 3부작>

고전은 오늘도 힘차다, 연극의 원형을 찾아가는 <오레스테스 3부작>

사람은 언제부터 연극을 보고 즐겼을까?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아테네의 연극을 서양 연극의 기원으로 잡는다고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3대 비극 작가들이 활동하던 시기이다. 신화와 역사가 아직 완전히 분리되지 않던 시기, 최초의 고전이 탄생하던 그 시절의 작품이 올 여름, 게릴라극장 해외극 페스티벌 - 희랍극 무대에서 오른다. 우리극연구소 설립 20주년 기념작, 연희단거리패...

조회수 8040 | 2013-07-09

현실을 뛰어넘는 상상력의 힘 <병신3단로봇>

현실을 뛰어넘는 상상력의 힘 <병신3단로봇>

때는 바야흐로 2013년 5월. 헐리우드에서 날아온 아이언맨이 극장가를 제패하고 있는 이 때, 대학로에는 변신로봇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 변신로봇, 아이언맨 같은 빛나는 최첨단 수트는 커녕, V자가 새겨진 은색 조끼와 팔토시 발토시가 변신의 전부다. 눈이 휘둥그래지는 CG 효과도, 대단한 와이어 액션도 없다. 대신 공연 벽두부터 관객들에게 이렇게 요구한다. “상상하라!” 관객의 상상을 극대화시키며, 기발한 발상과 재기발...

조회수 8152 | 2013-07-08

당신은 이성을 믿는가 - 극단 하땅세 <파리대왕>

당신은 이성을 믿는가 - 극단 하땅세 <파리대왕>

당신은 이성을 믿는가 - 극단 하땅세 파리대왕 “벌이 꿀을 만들어내듯이 인간은 악을 만들어낸다.” 인간 본질에 내재된 악을 깊이 파고든 영국의 작가 윌리엄 골딩의 말이다. 1983년 노벨문학상 수상작인 그의 대표작 파리 대왕 은 무인도에 고립된 어린 소년들이 점차 야만으로 치닫는 모습을 섬뜩하게 묘사하며, 인간 이성에 대한 회의를 그려낸다. 극단 하땅세는 국내 최초로 파리 대왕 을 연극으로 재현하여, 골딩의 잔혹한 무...

조회수 9195 | 2013-06-07

상처와 고통을 넘어 피워낸 치유의 꽃 - 극단 민들레의 <꽃할머니>

상처와 고통을 넘어 피워낸 치유의 꽃 - 극단 민들레의 <꽃할머니>

극단 민들레의 꽃할머니 는 故 심달연 할머니의 증언록을 토대로 만들어진 권윤덕 작가의 동명의 그림책을 무대에 올린 작품이다. 극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순덕’ 할머니가 삶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마임과 대사, 노래로 이어지는 이야기에는 열세 살에 위안부가 되어 모진 고초를 당하다 가까스로 고국으로 돌아왔지만 냉대와 무관심 속에서 고통스레 살아온 상처와 아픔이 녹아있다. 그러나 꽃할머니 는 위안부라는 ...

조회수 10003 | 2013-04-29

잊을 수 없는 고통, 그러나 나아가야 한다 <트라우마 in 인조>

잊을 수 없는 고통, 그러나 나아가야 한다 <트라우마 in 인조>

잊을 수 없는 고통, 그러나 나아가야 한다 트라우마 in 인조 반정反正이라는 말을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되돌려 바르게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조선의 16대 왕 인조는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따지고 보면 임금으로서 썩 순탄한 출발은 아니었던 셈이다. 아버지에서 아들로, 혹은 다른 후계자에게로 정상적인 이양을 통해 정통성을 얻은 것이 아니라, 전대 왕을 끌어내리고 그를 부정하는 방식으로 왕위에 올랐기 때문...

조회수 10290 | 2013-03-2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