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메일진
[써니의 신인류발견보고서] 첫번째. 배우 권동호
최고 관리자
2013-05-03 14:02:28
파일 :

외로움의 시대다. 자기 얘기를 들어줄 사람이 필요한 이 시대는 ‘힐링’이라는 트렌드를 만들어냈고, ‘나 혼자 산다’라는 신생 TV프로그램의 등장은 1인 가구 이야기로도 ‘대중’의 공감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복덕가아든>은 80년대, 탄광촌이라는 낯선 시간적 공간적 배경에서 일어나는 사건이지만, ‘인간의 외로움’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지금의 우리와 전혀 동떨어진 이야기를 하는 작품은 아니다.
언제든지 쫓겨나 혼자가 될 수도 있다는 불안 없이 그저 함께 지낼 사람과 공간이 필요한 최 씨, 모든 것을 다 가진 듯이 보이지만 막연한 불안으로 가득 차 매일 아내만 찾아다니는 사장 아들 주임, 남들에게 비치는 자신의 이미지 때문에 누구와도 속 편히 얘기하려고 하지 않는 은별 등. 결코 대단한 걸 바라는 것이 아닌 이들을 보며 ‘외로움’과 ‘희망’이라는 게 뭔지, 그것이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보게 된다.
<복덕가아든>의 또 한 명의 ‘외로운 이’,
덕삼役의 배우 ‘권동호’를 만나고 왔다.
신인류 이름 : 권동호 Kwon Dong Ho
신인류 직업 : 배우
보고 일시 : 2013년 4월 26일
보고 장소 : 키작은 소나무극장 <복덕가아든> 공연장
인터뷰를 하러 극장 안으로 들어갔다.
캄캄한 관객석 옆, 권동호 배우다.
무대 위에서는 아주 특별해 보이는 배우지만,
무대 밖에서 보니 평범한 청년이다.
가만, 목소리도 남자답고 멋지다.
순박하기만 한 바보 덕삼이는 보이지 않는다.
그가 더욱 궁금해졌다.
반갑습니다.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릴께요.







<복덕가아든>을 보고나서, 작품 외적으로 가장 강하게 든 생각은
‘와, 권동호 배우 진짜 힘들겠다!’였다.
부러 어설프게 흘려보내야하는 말투, 삐딱한 입모양,
시종 부산스러운 손 제스처와 시선... 단 한 장면도 쉬워 보이지 않는,
정말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연기였다.
권동호 배우로 인해 <복덕가아든>이 좀 더 특별해졌다.
그와 <복덕가아든>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관객들이 절 보고 웃고 귀여워하는 것도 좋지만, 사실 덕삼이에게는 그런 단편적인 반응보다는, 여러 가지 생각을 할 수 있게끔 하는 캐릭터여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여러 사람들의 사연이 얽힌 ‘탄광촌’이라는 공간에서 가장 순수함을 간직하고 있고, 누군가에게 아낌없이 사랑을 베풀 수 있는 캐릭터여야하고, 어떤 것에 좋아하고 슬퍼하는지, 왜 그러는지와 같이 디테일한 부분들을 대해서 그동안 전혀 생각 안 하고 있었다는 게 충격이었죠. 그 이후로 덕삼이를 지적장애 중등도로 설정하고 제스처나 사고방식들을 세세하게 준비했어요.
하루는, 실제 지적장애인 분들이 와서 공연을 보신 거예요. 그 때는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저분들한테 내가 어떻게 비춰질까. 저분들을 내가 너무 희화화하고 있지는 않나? 관객들이 덕삼 캐릭터에 매력을 느끼고, 덕삼이의 말을 진지하게 듣고, 덕삼이의 꿈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할텐데’ 하고요. 자칫하면 단순히 희화화되고, TV 예능프로그램에나 나오는 바보캐릭터가 될까봐 다시 한 번 조심하고, 고민하게 된 계기인 것 같아요.

‘중등도’라고 말씀하시는 것 보니까, 의학적으로 장애 증상이 단계별로 나뉘어져 있는 것 같아요. 그 ‘중등도’를 표현하기 위해 신경 쓴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세요.




학교 인맥이 아닌 곳에서 더 경험을 쌓고 싶었던 그가
결국은 학교 사람들로 구성된 극단으로 들어가게 된 계기는 ‘작품성’이었다.
이 대목에서 그의 눈은 실로 반짝였다.
작품, 연기, 연극을 대하는 그의 자세에 대해 더욱 궁금해졌다.
연기를 시작하게 된 계기

그런데, (다른 배우들도) 많이들 하는 말이지만, 공연이 끝난 후 커튼콜 하잖아요. 처음에 그게 너무 좋았어요. 그동안, 사람들이 나에게 박수쳐주는 때가 얼마나 있었을까 하는 생각에 이걸 (앞으로도) 해야겠다는 생각이 처음 들었고, 그때부터 연기를 진지하게, 열심히 하게 됐죠.



연기가 잘 안 풀리고, 슬럼프가 찾아오면 어떻게 극복하시나요?


차기작 계획 있으세요?


앞으로 어떤 연기자가 되고 싶으세요?


